한달 전 8월 5일, 블랙먼데이.
코인, 주식시장 할 것 없이 급락했던 가장 큰 이유는,
그 전 주에 발표됐던,
미국의 실업률 때문입니다.
7월 실업률이 발표된 8월 2일,
예상치인 4.1% 를 상회하는 4.3% 로 결과가 나왔고,
'경기 침체' 우려가 퍼지면서 전반적인 위험자산 시장이 폭락한 것입니다.
즉,
그동안 시장을 지배하던 내러티브,
더 쉽게 말해,
경제 지표를 해석할 수 있었던 공식이 '금리 인하' 내러티브였다면,
7월 실업률이 치솟으면서,
'경기 침체' 내러티브로 변화하면서,
8월 블랙먼데이 급락이 발생했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내러티브에 따라 똑같은 경제지표도 다르게 읽힐 수 있습니다.
때문에 현재 시장의 내러티브가 어떤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어제 발표된 JOLTs 구인/이직 보고서는,
예상치 809만 건을 하회하는 767만 건으로 발표 됐습니다.
즉, 고용이 둔화 되고 있다는 뜻이죠.
그리고 발표가 나온 23시,
비트코인은 3.6% 상승했습니다.
'고용이 둔화' 됐는데, 시장이 상승했다?
그렇다는 것은,
👉 시장의 내러티브는 아직 '금리인하'.
그럼 오늘 발표 예정된,
- ADP 비농업부문 고용지수는 예상치보다 하회하는 것이,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예상치보다 상회하는 것이,
현재의 '금리 인하' 내러티브에서는 더 유리하겠죠.
그리고 '금리 인하' 내러티브가 유효한 현재 시장이라면,
9월 18일 모두가 예상하고 있는 금리 인하라 할지라도,
분명 시장은 반응하게 될 겁니다.
때마침 엔비디아 주식을 필두로 미 증시는 하락 중입니다.
그동안 참 많이도 올랐습니다.
이제 고평가가 될 대로 된 상황에서 미 주식시장에서의 자금 이탈은,
예정된 수순입니다.
앞으로의 엔비디아가 얼마나 성장할 수 있을지와는 아무 상관 없습니다.
원래 시장은 기대치를 선반영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엔비디아는 주가는 그 기대치를 충분히 끌어다 썼습니다.
엔비디아는 21년 고점으로부터 300% 가 넘는 상승을 했습니다.
월가의 큰 손들은 이미 충분히 재미를 봤겠죠.
하지만 그들은 냉정합니다.
절대 종목과 사랑에 빠지는 법은 없죠.
그들은 이제 저평가된 자산을 찾을 것이고,
비트코인은 21년 고점으로부터 오히려 -19% 하락했다는 것을 알고 있겠죠.
따라서 미 주식시장에서 유출된 자금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흘러들어올 겁니다.
이 또한 억지가 아닌,
예정된 수순입니다.
'트레이더들의 생각 >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형]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1) | 2024.09.19 |
---|---|
[만감독] 폭발적 상승이 임박했다고 보는 5가지 이유. (24.09.12 작성) (2) | 2024.09.19 |
[만감독] 비트 상승은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 달려있다? (24.08.28 작성) (3) | 2024.09.19 |
[비형]3대 물가 지수 - 미국 PCE 개인소비지출 물가 지수 (3편) (0) | 2024.09.19 |
[만감독] 텔레그램 CEO 구금, 그리고 216% 상승 코인? (24.08.27 작성) (0)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