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레이더들의 생각/세상을 바라보는 시선

[만감독] BRICS 시리즈 - 달러를 사 모으면 안 되는 이유

 

(1달러가 1,000원이라고 할 때)

1,000원과 1달러 중 하나를 받을 수 있다면 무엇을 택할 것인가?

 

대부분 달러를 선택한다.

 

아주 오랜 시간동안 달러는 기축통화로서 역할을 했고,

물건을 사고 1,000원짜리를 쓸 수 있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지만,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달러도 받는다는 걸,

 

우리는 경험적으로 알기 때문에.

 

부자집 금고에 금괴와 달러뭉치가 쟁여져 있는 이유는,

금과 달러는 위급한 상황이 와도 가치가 인정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앞으로 달러의 가치가 떨어질 거라고 보는 사람이다.

 

그래서 돈 생기면 달러를 조금씩 사 놓으라는 말은,

이제 예전 사고방식이라고 생각하고,

돈 생길 때 달러를 조금씩 사 놓으면 망한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를 내가 정말 관심있는 주제인,

BRICS 로 설명해 보려고 한다.

(브라질 Brazil, 러시아 Russia, 인도 India, 중국 China, 남아프리카 공화국 South Africa 의 앞글자를 딴 이름)

 

 

우크라이나 전쟁을 보며 대중들은 러시아를 악당 취급했다.
그렇게 생각하는게 편하고 간단하니까.

하지만 나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던 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전쟁을 일으킨 가장 큰 이유를

단순히 유럽 진출을 위한 영토확장으로만 보지 않았다.

진짜 이유는 '유럽의 에너지 공급 조절' 의 명분을 갖기 위해,

그리고 더 나아가 '세계 패권의 장악' 이라고 봤던 것.


 

 

유럽에서 독일이 차지하는 경제적 위상은 다른 유럽 국가들과는 차별된다.
독일은 유럽 최대 경제 대국이니까.

 

그러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독일은 에너지비용 상승으로 경기침체 국면으로 접어 들었고,

예전 유럽 최강대국으로서의 면모는 점점 희미해지고 있는 중.

즉,

러시아는 독일의 에너지를 틀어막으면 어떻게 되는지 잘 아는 것.

 

 

모두 알다시피 러시아는 브릭스(BRICS)의 주축국이다.
최근 경제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는 '탈달러화'를 목표로

세계 경제 패권을 재편하려고 하고 있다.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 이제는 사우디, 이란, 아랍에미리트, 아르헨티나, 이집트, 에티오피아까지.

신규 회원국인 사우디와 기존 회원국 러시아는

이미 OPEC플러스를 통해 석유 시장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중국은 석유 시장 최대 수입국.

이게 과연 단순 우연일까? 당연히 아닐 것.

 

 

이들이 최강대국 미국과 패권을 겨루기 위해서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면서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무엇일까?

❗️ 바로 '자원의 무기화'❗️

사우디와 러시아는 이번 원유 감산 정책을 통해 '자원의 무기화' 

 

그 중에서도 첫째로 
'에너지 자원의 무기화'

를 서서히 진행시키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다면 또 다른 '자원의 무기화'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이상기후현상은 최근 몇 년동안 심각해지는 속도가 더욱 가속화 되고 있다.

시기와 맞지 않는 폭염, 한파가 최근 잦아졌다는 걸,

한번쯤은 경험해 보았을 것.

 

 

 

 

많은 미래학자들은 예견하고 있다.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인류에게 가장 위협적인 문제는 

다름 아닌 '식량위기' 라고.

 

 

 

기사에서 보듯이 우크라이나는 곡물, 해바라기유, 비료등의 주요 농업 생산국.
(우크라이나는 세계 4위 옥수수 수출국, 5위 밀 수출국)

그런 우크라이나를 러시아가 침공하는 사이,

인도는 밀 수출량이 무려 4배가 증가했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이익 중의 하나는,

 

 

 

 

곡물 생산량의 공급량을 줄이는 것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것, 
그것이 바로

❗️'식량의 무기화'❗️

 

 

세계 경제가 전체적으로 어려워지게 되었을 때,

한 나라가 살아남기 위해 마련할 수 있는 돌파구는 무엇일까?

브릭스 국가들은 많은 인구(인도1위, 중국2위)와

넓은 국가면적(러시아1위, 중국4위, 브라질5위, 인도7위),

그리고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합니다.

 

이게 무엇을 의미할까?

바로❗️'내수'❗️

글로벌 경제 위기가 오면,

결국 자국경제를 돌림으로써 유지하고 생존할 수 밖에 없다.
그렇게 되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인구'.

❗️'인구 자원의 무기화'❗️

(위 사진에서 빨간 네모는 브릭스 가입국, 까만 네모는 브릭스 가입희망국)

 

 

브릭스 국가들을 필두로 이런 움직임은 점차 두드러질 것.
그리고 그 모든 것은 정확히 하나의 나라를 조준하고 있다.

미국의 패권을 빼앗아 오는 것.

그리하여 달러 중심의 세계 경제를 재편하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가 

브릭스 공동 화폐가 될 수 밖에 없다.


그게 비트코인이 될 지는 아직은 미지수.

 

왜냐면 비트코인은 전송 수수료, 전송 시간 등을 볼 때,

새로운 공동 화폐가 되기에 불리한 점이 많기 때문.

 

 

 

그런 점에서 XRP 는 현재까지 가장 유리한 면이 많은 코인임이 틀림 없다.

 

SWIFT 2.0 을 목표로 하는 전세계 송금시스템 수립의

핵심적인 역할에 있어서 XRP가

이미 아주 오래전부터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고질적인 부채 국가.

그 부채를 갚기 위해 더 많은 달러를 발행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고,

계속해서 채권을 발행한다.

 

때문에 향후 몇 년 동안 미국이 통화 공급을 훨씬 더 확대할 가능성을 고려할 때

상당한 통화 약세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예상이 심심치 않게 나오는 건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달러의 가치가 곤두박질 치면,

그 피해를 가장 크게 입는 건 당연히 미국인들이 될 것이고,

 

경제적으로 박탈감을 느끼거나 뒤처졌다고 느끼는 미국인들이 점점 더 많아지면서

궁극적으로 대체 자산과 경제 시스템을 찾게 될 것이며, 

이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을 가속화 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역사적으로 기축통화의 수명은 90년에서 100년 정도.

달러가 기축통화로서의 지위를 가지게 된 것은 1921년이고,

2024년인 현재까지 100년 넘게 기축통화로서 역할을 했다는 점을 상기해 볼 때,

기축통화로서의 수명이 다했다는 주장은 어느 정도 힘이 실린다.

 

 

비트코인은 상징적인 의미에서 가격상승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

 

이건 내가 코인판에 몸담고 있는 사람이어서가 아니라,

거스를 수 없는 역사적 흐름이요, 진화이기 때문이다.

 


▶팀 구성◀

 

▶매매 전략

 

▶매매 철학

 

▶시장 분석


 

 

중동 전쟁 리스크, 위기일까 기회일까?

마이클 세일러가 비트코인을 미친듯이 사는 이유는 따로 있다. (1편)

 

마이클 세일러가 비트코인을 미친듯이 사는 이유는 따로 있다. (2편)

 

이번 싸이클 최고의 주인공이 될 코인??

 

 

 

- 09.19~10.03 아발란체

🔺+13.64% / 롱 포지션 / 추세매매

- 09.07~09.26 주피터

🔺+37.73% / 롱 포지션 / 추세 매매

 

- 09.23~09.30 골렘

🔺+21.88% / 롱 포지션 / 추세매매

 

- 09.07~10.02 크로미아

🔺+23.48% / 롱 포지션 / 역추세매매


- 09.27~09.30 유엑스링크

🔷-5.9% / 롱 포지션 / 추세 매매

- 09.25~09.26 앵커

🔺+3.07% / 롱 포지션 / 추세 매매

 

- 09.30~10.02 콘플럭스

🔺+13.72% / 숏 포지션 / 역추세매매

- 09.30~10.02 골렘

🔺+13.03% / 숏 포지션 / 역추세매매

- 09.26~09.28 페치

🔺+4.8% / 롱 포지션 / 추세매매

 

- 09.27~09.28 룸 네트워크

🔷-7% / 롱 포지션 / 추세매매

 

- 09.24~09.25 유엑스링크

🔺+11.7% / 숏 포지션 / 역추세매매

- 09.24~09.24 앵커

🔺+2.16% / 숏 포지션 / 추세매매

- 09.21~09.23 수이

🔷-3.41% / 숏 포지션 / 역추세매매

 

- 09.19~09.20 뮤

🔺+7.53% 종료 / 숏 포지션 / 추세매매

 

- 09.09~09.12 수이

🔷-6% / 숏 포지션 / 추세매매

 

- 09.03~09.04 크로미아

🔺+7.83% / 숏 포지션 / 역추세매매

 

- 09.02~09.10 앱토스

🔷+6.51% / 숏 포지션 / 추세매매

 

- 09.04~09.27 캣인어독스월드

🔺+66% / 롱 포지션 / 추세매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