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레이더들의 생각/세상을 바라보는 시선

[비형]'아메리칸 비트코인'

 

 

4월 3일.

상승과 하락 모두
트럼프 관세 발표 결과에 대한

기대감과 공포 였습니다.

트럼프는 모든 교역상대국에
10%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국가별 미국산 상푸에 부과하는 관세에
상호관세를 추가해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시장은 10% ~ 20% 수준의 관세율을
예측했지만,

대다수 국가의 관세율이
20%를 웃돌았기 때문에

고율 관세 부과에 따라
미국 내 물가가 상승하면

다시금 인플레이션이 발발하기 때문에
경기 침체 가능성이 

시장의 불확실성을 확대시켰습니다.

 

시장참여자들은 언제나
 불확실성에 대한 공포를 갖고 있기에

매도세가 터졌다고 볼 수 있는데,
중요한건 트럼프가 이를 몰랐을리는 없을거라는 것.

트럼프는 권위적이며 탐욕스럽기 때문에

오히려 지금부터 주목해야하는건
최악의 시나리오 다음

미국과의 개별협상으로
상호관세율을 낮추기 위한

주요국들의 움직임들.

일부 국가에 대한 관세율이
하향 조정되기 시작하면

이번 고율 관세 부과에 대한 잡음은
금방 사라질것이라 봅니다.

결국 이러한 과정 자체를 통해
본인이 원하는 이익을 얻어낼 것이기에

이번 관세 발표 속에 내제되어 있는
트럼프의 이익이 무엇일까 생각해보면

 

 

 

유동성 자금의 확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높은 물가에 대한
개인 소비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경기 침체가 발생하면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기에

위험 자산의 수요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안전자산인 달러 및 금의 수요가 증가하며
가격 상승을 동반하게 됩니다.

실제로 금은 현재
역사상 최고가를 달성했으며

관세 완화로 인한 자금 유출이 나올 경우
유동성 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되겠죠.

 

확보된 유동성 자금이
어디로 수급될지는 알 수 없지만,

트럼프의 큰 그림이 유동성 확보가 맞다면
분명 수급처는 정해져 있을 겁니다.

 

 

그리고 이를 유추해 볼 수 있는곳이

비트코인 채굴 회사인 Hut 8이
투자자그룹과 함께 설립한

'아메리칸 비트코인'입니다.

채굴기업이 왜?

투자자 그룹에 에릭 트럼프와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등.

대통령의 아들들이 참여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는
"비트코인에 대한 확신을 갖고

개인적으로나 비즈니스를 통해
이를 지지했다"고 밝혔으며

"단순히 비트코인을 구매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기에

채굴은 더 큰 기회를 제공한다"는
발언으로 비트코인에 대한 지지를 보여주며

트럼프 역시 친 암호화폐 성향이기에
유동성 자금의 수급처로 볼 수 있습니다.

 

애초에 비트코인이 휴지조각이 되지 않는이상
비트코인 채굴은 그냥

마르지 않는 샘물이나 다를바 없습니다.

24년 7월 8일 브리핑..
기억 안나시겠죠?

 

 

당시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이미

23년 8월 29일.
비트코인이 $25k ~ 26k하던 시절

시가총액 기준
상위 4곳에 투자하고 있었으며

 

 

그중 시가총액 1,2위인

마라톤 디지털과
클린스파크의

최대규모 투자 기업은
블랙록 이였습니다.

 

 

 

이렇게 블랙록은

연이은 채굴자들의 항복을

 

역으로 저점 매집하며

300% 반등의 저점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아메리칸 비트코인'의 설립 역시
추후에 다가올 상승에

최저점이 될 가능성 역시
배제 할 수 없으며

최종 배후는 결국 
트럼프이기 때문에

지금 하락에 집중해야 되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팀 구성◀

▶매매 전략

▶매매 철학

▶시장 분석

 


-나만의 작은 시장

-자신만의 매매법

-효율적인 투자

-욕심의 기준

-B형 DNA(1)

-B형 DNA(2)

-B형 DNA(3)


-크립토 서밋 이후 방향성은?

-XRP(리플) 전망(SEC감독 강화,현물 ETF)

-현물 ETF, 다음은 솔라나?

-일본금리 인상,앤캐리 트레이드는 비트코인 악재

-비트코인 시즌 종료?

-양자컴퓨터.발전하는 인류,위기의 비트코인?

-경제 위기의 그림자

-채굴 기업과 블랙록의 지배

-도미넌스 차트를 보는 시선

-2025년 비트코인이 폭발적으로 상승할 가능성

-레귤러,로그 차이

-반감기 사이클 이제 시작.

-게리 겐슬러 사임. 리플 폭등 가능성.

-하반기는 결국 유동성 폭발!

-트럼프 당선 확정? 의심이 필요한 시기.

-세계 공공부채 100조 달러. 기회가 눈앞에

-지정학적 리스크, 2주 남았습니다.

-10월 첫째주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

-금리 결정 이후 GDP와 파월 연설. 위기? 기회?

-3대 물가 지수(CPI)

-3대 물가 지수(PPI)

-3대 물가 지수(PCE)

-고용 지표(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확신은 곧 도박.